KVIC 벤처펀드 벤치마크
해당 보고서는 반기별로 발간되며, 이번 호에서는 2022년 6월 말 기준 데이터를 분석하였습니다.
펀드 운용성과의 좋고 나쁨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펀드의 성과를 비교대상 자산의 성과와 비교해보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. ‘벤치마크’란 펀드의 성과를 비교·평가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성과정보로 전체 시장의 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펀드 그룹의 성과정보를 기반으로 산출한 기준지표와 같은 개념이다.
또한 만약 특정 기간의 펀드 수익률이 10%일 때, 같은 기간 종합주가지수는 20% 상승했다면 펀드에 투자한 것이 상장 주식시장에 투자한 경우보다 수익률이 좋다고 할 수는 없다. 반대로 펀드 수익률이 –5%지만 상장 주식시장의 수익률은 –10%라면 펀드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나쁘다고 할 수 없다. 이렇게 펀드의 성과가 좋고 나쁨을 비교하기 위한 도구로 비교대상 자산의 벤치마크를 활용할 수도 있다.
한국벤처투자의 ‘KVIC 벤처펀드 벤치마크’는 우리나라 벤처펀드의 약 57%(2022년 6월 말 기준)에 대한 누적 성과정보가 집계되어 있는 모태펀드 DB를 기반으로, 벤처펀드 성과를 나타내는 대한민국 대표 벤처펀드 벤치마크이다.
* 운용 중인 벤처투자조합 기준
출처 : 한국벤처투자, 한국벤처캐피탈협회
① KVIC 벤처펀드 기간수익률
② PME 벤치마크 (KOSPI / KOSDAQ 상장시장과의 수익률 비교지표)
③ 펀드 결성연도별 벤치마크
④ 펀드 결성규모별 벤치마크
벤처펀드 수익성의 기준 지표가 되는 ‘KVIC 벤처펀드 벤치마크’는 다음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.
① 개별 벤처펀드와 운용사의 성과를 비교/평가
② 투자 목표 수익률, 자산구성 등 자산배분계획에 참고
③ 정책자료 및 연구 목적
벤치마크 성과데이터는 각 모태 출자펀드 운용사가 제출하는 반기 재무제표, 연간 감사보고서, 월간 보고 자료, 반기 펀드 투자자산 가치평가, 펀드 출자/배분 정보* 등을 기반으로 반기마다 산출한다.
각 운용사 제출 자료는 제출 시점에 수시로 집계하여 DB에 입력하고, 주기적으로 데이터 오류를 재검증한다.
반기 가치평가 자료 반영으로 인해 벤치마크는 기준시점에서 한 반기 시차(Time lag)를 두고 발표한다. 벤치마크 발표 이후 펀드 과거 데이터에 대한 추가/변경사항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과거 시점의 벤치마크는 변동될 수 있으며, 이러한 사항은 다음 반기에 반영한다. 또한, 벤치마크 내 새로운 기준을 도입하거나, 제공정보 범위와 형태 등 구성 항목 역시 변동될 수 있다.
* 성과보수 제외, 세전 기준
펀드 투자자산 가치를 반기 주기로 측정하기 때문에 객관성, 적시성 등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.
펀드 결성 후 최초 2~3년 이내 시점은 벤처펀드의 특성(J-curve 효과*)상 의미 있는 수익률을 산출하기가 어렵다. (* J-Curve 효과: 투자수익이 후기에 집중적으로 발생하고, 초기에는 수익률이 낮거나 손실이 발생하는 현상으로 대부분의 벤처투자 자산에서 일반적으로 발생)
벤처펀드 기간수익률은 모든 펀드를 하나의 큰 펀드로 간주하여 산출한 통합 수익률(Pooled IRR)이다. 또한 임의의 시점을 기준으로 시작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의 펀드의 출자, 배분, 가치변동을 고려한 금액가중 연환산 수익률(end-to-end IRR)*을 반기별로 산출한다. (*[별첨 1] 참조)
계산의 단순화를 위해 모든 펀드의 현금흐름은 해당일자가 속한 분기의 중간 시점에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한다. (e.g. 2017.3.1. 펀드 출자 → 2017.2.15. 펀드 출자 / 2016.7.5. 수익 배분 → 2016.8.15. 수익 배분으로 가정)
PME 벤치마크는 벤처펀드의 현금흐름과 가치변동, 상장 주가지수의 등락을 반영한 것으로, 벤처펀드의 출자/배분이 발생한 동일시점에 동일한 금액만큼 상장 주가지수를 사고파는 것으로 가정한 가상의 투자에 대한 수익률이다(KOSPI, KOSDAQ 지수의 단순 기간수익률과는 다르다).
* 2004년에 결성했던 모든 펀드의 2022년 6월 말 기준 연환산 수익률이 5.71%임을 의미한다.
각 벤처펀드의 결성일로부터 현재 기준시점까지의 IRR을 독립적으로 계산한 후, 결성연도별 사분위수, 중위값, 최대/최소값을 산출한다.
각 벤처펀드의 결성일로부터 현재 기준시점까지의 투자배수를 독립적으로 계산한 후, 결성연도별 사분위수, 중위값, 최대/최소값을 산출한다.
결성연도별 벤처펀드의 총 DPI, RVPI, TVPI를 산출한다.
각 벤처펀드의 현재 기준시점까지의 IRR과 투자배수를 독립적으로 계산한 후, 펀드규모별로 구분한 사분위수, 중위값을 산출한다.
* 활용예시는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으며, 실제 벤치마크 결과와는 다른 가상의 수치를 사용함
• 상장시장과 벤처펀드 수익률의 직관적 비교가 가능하다.
• 벤처펀드 기간수익률과 PME의 수익률 차이로 상장시장 대비 벤처펀드의 초과수익을 가늠할 수 있다.
• 출자/투자자의 자산배분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.
* PME의 계산은 [별첨 2]의 설명 참조
• 펀드의 결성규모에 따른 벤처펀드의 성과 수준을 파악할 수 있다.
• 출자/투자자의 자산배분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.
최초 펀드 납입 시부터 측정 기준시점까지의 연간 수익률로써 최초펀드 납입액, 일자별 출자납입액 및 분배액, 미청산 보유자산의 기말 순자산가치 평가액(NAV)을 현금흐름으로 투입하여 계산한다.
포트폴리오 내 모든 펀드를 하나의 큰 펀드로 간주하고, 각 시점에 발생한 펀드들의 모든 현금흐름 및 NAV를 합산하여 산출한다.
임의로 지정한 시작과 끝 두 시점 사이의 성과를 측정한다. 시작 시점에서는 최초펀드 납입액 대신 기초 순자산가치 평가금액(NAV)을 납입액으로 대용한다.
펀드의 법적성립연도이며, 펀드의 첫 번째 Closing, 혹은 첫 번째 Capital Call 시점과 같거나 그 이후이다.
출자금 대비 누적 배분금 + 잔여가치 합의 비율로 펀드 전체 성과를 측정한다. (e.g. 수익배수 1.5 → 1을 투자해 0.5의 투자 초과수익을 거둠)
연도별 개별펀드들을 성과 순으로 4그룹으로 나눌 때, 그 그룹을 구분짓는 위치에 해당하는 값을 1~4분위수로 표시한다.
연도별 개별펀드들을 성과 순으로 일렬로 세웠을 때, 그 중앙에 위치한 값이다.
연도별 개별펀드들을 성과 순으로 일렬로 세웠을 때, 최대/최소값이다.
시작 시점에서 종료 시점까지 출자하고 배분한 금액과 잔여자산의 순현재 가치를 0으로 만드는 할인율
의 등식을 만족하는 r (할인율, %)
NAVS : 시작점의 순자산가치
NAVF : 끝점의 순자산가치
• NAV(Net Asset Value) = 재무상태표 상 순자산 + 투자자산 평가액 – 투자자산 장부가액
CFi : i 시점(ti)에 발생한 (±)현금 흐름
• NAV를 증가(자금유입)시키는 현금흐름(중간배당, 원금분배)은 양의 값(+), NAV를 감소(자금유출)시키는 현금흐름(출자금)은 음의 값(-)
ti : CFi 가 발생한 시점
T : 시작점과 끝점 사이의 기간
•산식:
DPME : 수정배분금
※ KOSDAQ PME 계산: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산출하나, KOSPI 지수 대신 KOSDAQ 지수로 산출